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ored Procedure
- Brute Force
- two pointer
- DP
- 그래프
- Trie
- binary search
- union find
- 스토어드 프로시저
- MYSQL
- Hash
- Dijkstra
- Two Points
- 이진탐색
- 다익스트라
- String
- SQ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25)
codingfarm

https://www.youtube.com/watch?v=LsNW4FPHuZE 위 강좌에 나오는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하단의 게이지가 차오르며 가득차면 캐릭터가 사망하면서 게임오버 된다 이를 늦취 위해 맵에 랜덤으로 리젠되는 오브젝트를 획득하는 게임이다. 캐릭터이동에 관한 기본 베이스는 언리얼에서 예제 프로젝트로 제공되는 3인칭 게임에 두고있다.

천장 부분을 렌더링 하기 위한 함수이다. 방의 크기에 맞춰서 천장 파츠를 이어 붙여야 하므로 RoomSize 횟수 만큼 반복문을 돌려줘야한다. 몇번째 방인지(index), 방의 크기가 어느정도인지(RoomSize), 방의 시작위치가 어디인지(offset)의 정보들을 이용해서 각각의 천장 파츠가 와야할 위치를 MakeTransform으로 만든다. 그리고 Static mesh Component를 이용하여 해당위치에 천장 mesh를 만든다. RoomType에 설정된 값에 따라 천장의 타입이 결정되게끔 한다. 그리고 앞서 만들어진 transform에 추가된 static mesh component에 알맞은 mesh를 적용시킨다. roomtype이 너무 작다면 나머지 천장의 타입은 자동으로 결정 되게끔 한다. Sw..

RoomNames 문자열 타입의 배열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그에 맞춰 각 방에 이름을 표시한다 가령 위와 같이 문자열을 설정하면 first room 이라는 이름이 각 방의 벽면에 렌더링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블루프린트를 확인하자. 함수 시작점부터 살펴보겠다. 스크립트의 흐름에 따라 바로 다음 순서를 보자 "Text location at the begnning of each room" 각 방의 시작점에 텍스트를 위치시킨다. 텍스트가 형성될 좌표를 찾는 과정이다. X : 매개변수 offset으로 전달받은 위치 Y,Z : 직접 입력 이렇게 얻은 좌표를 기반으로 transform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Text Render Component를 추가한다. 이때 상대좌표를 사용함을 명심하라 방의 ..

RoomNames 문자열 타입의 배열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그에 맞춰 각 방에 이름을 표시한다 가령 위와 같이 문자열을 설정하면 first room 이라는 이름이 각 방의 벽면에 렌더링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블루프린트를 확인하자. 함수 시작점부터 살펴보겠다. 스크립트의 흐름에 따라 바로 다음 순서를 보자 "Text location at the begnning of each room" 각 방의 시작점에 텍스트를 위치시킨다. 텍스트가 형성될 좌표를 찾는 과정이다. X : 매개변수 offset으로 전달받은 위치 Y,Z : 직접 입력 이렇게 얻은 좌표를 기반으로 transform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Text Render Component를 추가한다. 이때 상대좌표를 사용함을 명심하라 방의 ..

해당 프로젝트에서 여러 컨텐츠를 보이기 위한 공간이다. 블루프린트로 기능이 작성되어있으며 아래에서 주요 기능을 확인하자. Construction Script 0과 1이라는 분기점이 2개가 형성된다 먼저 0 분기점으로 가보자 "ThisRoomSize" 라는 정수형 변수를 0으로 만든다. "OffsetList" 라는 실수형 배열을 clear 한다. "RoomSizes"라는 정수형 배열을 clear 한다. 사실상 변수들을 초기화 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볼 수 있다. 이제 분기점 1로 가보자. 상당히 큰 규모지만 차근차근 살펴본다 우선 NumberofRooms 정수형 변수의 값을 최소1, 최대30의 값으로 한정짓는다. 이 NumberofRooms는 방이 연달아 몇개까지 있는지를 결정짓는 요소이다. 즉, 연달아 ..
https://www.daz3d.com/easy-modeling-and-morphing-with-blender Easy Modeling And Morphing With Blender | 3D Models and 3D Software by Daz 3D This product includes: The content of the video files is the same as the paper version, with, in addition for the video files, how to make texture painting in Blender and how to split a morph in several morphs. In the product you will also file a second pd w..

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 $\bullet$ 시스템의 클래스와 이들 상호 간의 관계, 그리고 클래스의 오퍼레이션과 애트리뷰트를 표현한다 $\bullet$ 논리 설계 시 분석 클래스 모델링과 물리 선계시 구현 클래스 모델링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구성요소(compartment) $\bullet$ 클래스 명 $\bullet$ 애트리뷰트 -애트리뷰트명 : 데이터타입 $\bullet$ 오퍼레이션 - 오퍼레이션명(매개변수명 : 매개변수타입) : 반환타입 가시성(visibility) $\bullet$ private : - $\bullet$ protected : # $\bullet$ public : + $\bullet$ package : ~ 예) 자동차 인터페이스(interface) 구성..

subdivision modifier properties 탭에서 추가 가능하다 viewport를 통해 추가되는 메쉬의 숫자를 조절하여 보다 완만하게 만들 수 있으며 Apply 하기 전에는 기존의 원본 오브젝트가 잔상처럼 남아 있으며 이를 조작하여 오브젝트를 변형시키게된다. apply 이후에는 새로운 형태의 오브젝트가 원본을 완전 대체하게 된다. 중요한것은 늘어난 mesh가 자동으로 완만한 면을 형성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subdivide 선택한 부분을 원하는 크기만큼 자동으로 잘게 잘라준다. 나누고자 하는 면들을 선택한 후 우클릭 - subdivide 를 하면 본래의 형상을 유지한채 면만 나누어 진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면 이외에 edge, vertex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활용할 부분은 잘 모르겠다. ..
$$\sum_{y=0}^x ( {}_a C_y ~{}_b C_{x-y} ) = {}_{a+b} C_x$$ 위 등식이 성립합을 확인해보자. 우선 $(t+1)^a(t+b)^b = (t+1)^{a+b}$ 위 식의 양변에서 임의의 항의 계수는 같음을 보여보자 가령 $t^n$의 계수를 구해보자 우변의 경우 $t^n$의 계수는 ${}_{a+b} C_n$이다 $(n \leq a+b)$ 좌변의 경우를 구하기 위해 식을 전개해보면 $$[{}_a C_{a} t^{a} + {}_a C_{a-1} t^{a-1} + \cdots + {}_a C_{1} t^{1} + {}_a C_{0} t^{0} ]\cdot [{}_b C_{b} t^{b} + {}_b C_{b-1} t^{b-1} + \cdots + {}_b C_{1} t^{1..

이산형 이변량 분포(Bivariate Distribution of The Discrete Type) $\bullet$ 두개 이상의 확률변수에 대한 분포에 대해 다뤄본다 ex) 대학 입시에서 내신성적 $X$와 수능성적 $Y$의 관계 $\rightarrow$ 대학교성적 $Z$의 예측 가능 여부 확인 초등학생의 키(X), 몸무게(Y), 발사이즈(Z)간의 관계 $\rightarrow$ 성인이 됐을때의 키 $W$ 예측 가능한가? $X,Y$를 이산형 확률 공간에서 정의된 두개의 확률 변수라 하고 $X$와 $Y$에 대응하는 2차원 공간을 $S$라 하자. $X=x, ~Y=y$인 확률을 $f(x,y) = P(X=x, Y=y)$ 라 하면, $f(x,y)$는 $X$와 $Y$의 결합확률질량함수(joint probability..

$A$를 $n \times n$ 행렬이라 하고 $\lambda$가 스칼라일때 $AX = \lambda X$ 위 식이 주어젔을 경우 $\lambda$를 $A$의 고윳값(eigenvalue)라 하고 $X$는 고윳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eigenvector)라 한다. 그리고 영벡터와 함게 $\lambda$에 대응하는 모든 고유벡터의 집합을 $\lambda$의 고유공간(eigenspace)라 하고 $E_\lambda$로 적는다. $A$가 $n \times n$ 행렬이고 $\lambda$가 스칼라일때 $AX = \lambda X$를 만족하는 $0$이 아닌 벡터 $X$가 존재하면, $\lambda$를 행렬 $A$의 고윳값(eigenvalue)라 한다. 이때, 벡터 $X$는 고윳값 $\lambda$에 대응하는 고유벡..

정규분포 규모가 큰 모집단을 관측할 때 많은 변수들이 종모양의 상대분포를 가질경우, 이런 변수들을 근사하는데 유용한 확률분포이다. 확률 변수 $X$라 정규분포를 따를경우 $X$의 $pdf$는 아래와 같다. $$f(x) = \dfrac{1}{\sigma \sqrt{2\pi}} \exp{\left[ - \dfrac{(x - \mu)^2}{2 \sigma ^2} \right]},~~~~~~-\infty
전칭기호(universal quantifier) 전체집합(universal set) : 어떤 집합이 주어젔을때 그 집합의 모든대상을 포함하는 집합. 가령 명제 "모든 사람은 죽는다." 위 명제의 전체집합은 "인류" 이다. 전체집합을 이용하여 위 명제를 아래처럼 나타낼 수 있다. "전체집합의 모든 $x$에 대하여 $x$는 죽기 마련이다." 여기서 하나의 구 "전체집합의 모든 $x$에 대하여" 를 전칭기호(universal quantifier)라 하고 이것을 $all$의 $A$를 뒤집어 만든 $\forall x$로 나타낸다. 즉, $\forall x$는 "모든 $x$에 대하여" 혹은 "각 $x$에 대하여" 의 뜻을 지닌다. 이 경우 "$x$는 죽기 마련이다"라는 주장은 $x$에 대한 한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

모순(Contradiction) 항진명제에 반하여 모든 노리적 가능성의 각 경우마다 진리값이 거짓인 명제를 모순이라 한다. 항진명제 $t$에 대한 $\sim t$는 모순이고, 모순 $c$에 대한 $\sim c$는 항진명제이다. 가령 $p \wedge \sim p$는 하나의 모순이다. 항진명제 $t$, 모순 $c$, 임의의 명제 $p$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 $p \wedge t \Leftrightarrow p$, $p \vee t \Leftrightarrow t$ (b) $p \vee c \Leftarrow p$, $p \wedge c \Leftrightarrow c$ (c) $c \Rightarrow p$, $p \Rightarrow t$

명제와 결합자(Statements and Connectives) 논리(logic) : 타당하지 않은 논증(arguments)으로 부터 타당한 논증을 구별하는데 쓰이는 원리와 방법에 대한것 명제(statement) : 참, 거짓 중 어느 한 경우로되 동시에 양쪽은 아닌 서술문. 명제라면 참, 거짓중 꼭 어느 한쪽이어야함을 분명히 가릴만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단순명제(simple statements)의 예 a) 대구는 대한민국의 도시이다. b) 2 + 1은 5와 같다. c) 달은 푸른치즈로 만들어졌다. e) 화성에는 지능을 지닌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f) 지금 비가 내리고 있다. 위의 명제들은 당장 답을 내리기에 곤란할수도 있지만 참과 거짓을 가릴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이 존재한다. 합성명제(..

우선 함수에 관련된 몇가지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겠다. $\mathbb R^n$에서 $\mathbb R^m$으로의 변환(transform) $T$는 $\mathbb R^n$에 속하는 벡터 $v$를 $\mathbb R^m$에 속하는 $T(V)$에 대응 하는 규칙이다. $T$의 정의역(domain)은 $\mathbb R^n$이고 $T$의 공역(codomain)은 $\mathbb R^m$ 이며 이를 $T : \mathbb R^n \rightarrow \mathbb R^m$ 으로 나타낸다. $T$아래에서 $V$의 상(image)은 $T$의 정의역의 벡터 $v$에 대해 공역의 벡터 $T(V)$를 지칭한다. $T$의 치역(range)은 $v$가 $T$의 정의역에 있을때 가능한 모든 상의 집합 $T(v)$를 지칭한다..

1. 커널 오브젝트에 대한 이해 $\bullet$ 커널 : 컴퓨터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중심이되는 운영체제의 핵심 프로그램 $\bullet$ 커널을 운영체제와 똑같이 취급하는 서적도 있다. 커널오브젝트에 대한 이해 $\bullet$ 커널오브젝트 : 커널에서 관리하는 리소스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블록 $\bullet$ 커널오브젝트가 프로세스 관리(생성,소멸,변화,상태정보,우선순위 정보...)의 주체이다. 커널 오브젝트(Kernel Object) $\bullet$ 프로세스의 정보, 상태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정의된 구조체 $\bullet$ 프로세스의 상태정보(running, blockd, ready...)와 우선순위정보는 OS내부에 저장되어야 하며 정보가 변경될때마다 갱신되어야 한다. $\bulle..

1. 프로세스(Process)의 이해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bullet$ 정의 : 실행중에 있는 프로그램 $\bullet$ 프로세스의 범위 : 메모리 구조 + 레지스터 set 프로그램 프로세스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실행될 수 있는 파일 메모리에 올라가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요소 1) 프로그램 실행시 메모리 구조 프로세스 하나마다 위와같은 분리된 메모리 공간이 형성된다. 각 프로세스는 서로의 메모리 영역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Register Set $\bullet$ CPU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중이라면 CPU내부 레지스테들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데이터들로 채워지게 된다. $\bullet$ 레지스터의 상태도 프로세스의 일부로 포함시켜야 한다. -이는 Context Switching..

원점을 지나는 평면은 두 개의 방향벡터가 기저를 이루는 $\mathbb R^3$의 2차원 부분공간임을 알고있다(참고) 기저벡터는 $\mathbb R^2$의 복사판으로 평면을 보게 하는 그 평면/부분공간의 좌표축에 위치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좌표는 유일함을 보장할 정리가 필요하다. $S$는 $\mathbb R^n$의 부분공간이고 $\mathcal B = \{ v_1,v_2,\cdots,v_k \}$는 $S$에 대한 기저라고 하자. $S$의 임의의 벡터 $v$에 대해, $\mathcal B$에 속하는 기저벡터의 일차결합 $$v=c_1v_1 + c_2v_2+\cdots + c_kv_k$$ 으로 $\mathcal B$의 성분을 이용하여 $v$를 표현하는 방법은 유일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