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rute Force
- SQL
- 다익스트라
- Dijkstra
- binary search
- 그래프
- union find
- two pointer
- Trie
- Two Points
- MYSQL
- Stored Procedure
- String
- DP
- 이진탐색
- 스토어드 프로시저
- Hash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25)
codingfarm

흔히들 말하는 단축키이지만 윈도우즈에서 단축키(ShortCut)라는 말은 다른 의미로 사용되므로 엄격히 구분지어야 한다. ShortCut Accelerator $\bullet$ 메뉴 이름에 &을 넣어 Alt키와 함께 사용하는 키 $\bullet$ 메뉴에 있는 항목을 키보드로 선택하는 방법 $\bullet$ 메뉴와 상관없이 사용 가능 액셀러레이터 만들기 우선 리소스뷰에서 메뉴 리소스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편집기를 연다. 메뉴만 봐도 한눈에 단축키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이름 옆에 단축키 값을 입력해준다. 그러기위해 각 메뉴 항목들의 캡션을 아래처럼 바꾼다. 이제 실행해보면 Alt + F 키를 누르면 File 메뉴가 열리는것을 볼 수 있다. 아직은 이름만 수정한것이므로 실제 단축키가 작동하진 않는다. 엑셀러..

0. 메뉴 윈도우즈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가장 표준적인 UI 구조와 기능, 내부적인 운용 방법은 간단치 않지만, 개발툴을 활용하면 비교적 쉽게 구현 가능하다. 프로젝트 내의 리소스파일 폴더를 우클릭하고 새항목을 클릭한다 좌측의 리소스 탭에서 리소스 파일(rc)을 선택한다. 솔루션 탐색기에서 생성된 rc파일을 볼 수 있으며, 리소스 뷰에서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는 리소스들의 목록을 계층적으로 보여준다. 리소스뷰의 Menu.rc 폴더를 우클릭하여 Menu 리소스를 추가해본다. 솔루션 탐색기 툴바에서 Menu.rc와 resource.h가 추가되었으며 리소스 뷰 툴바에서 메뉴 리소스가 추가된것을 볼 수 있다. 메뉴 리소스를 더블클릭하여 파일을 열면 작업영역 메뉴창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작업영역을 아래처럼 수정..

1. 리소스의 분리 프로그램은 코드와 데이터로 구성된다. 코드 :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단,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 데이터 : 프로그램의 처리 대상, 코드가 아닌 모든것 ex : 비트맵 아이콘, 메뉴, 문자열... 리소스 : 코드의 논리와 무관한 데이터 ex : 메뉴, 비트맵, 단축키, 문자열, 아이콘, 커서... 별도의 편집기로 만들어져 컴파일되며 링크시에 실행파일에 결합됨 컴파일 과정은 API에서나 MFC에서나 동일하다 도스와 달리 윈도우는 리소스를 만드는 과정과 코딩 과정이 분리되어서 생기는 강점들 디자이너와 프로그래머의 분업이 편리 리소스의 수정과 소스의 컴파일이 분리됨 리소스와 소스를 따로 컴파일하고, 실행파일 생성시에만 함께 링크되면됨 모듈 분할 컴파일의 장점과 비슷 리소스의 재사용이 용이 리소..

Enumerating Adapters 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direct3ddxgi/d3d10-graphics-programming-guide-dxgi Adapter 정의 : 컴퓨터의 HW와 SW이 기능을 추상화 한것 machine에는 수많은 adapter가 존재 일부는 HW로, 일부는 SW로 구현 HW : 비디오 카드... SW : Direct3D reference rasterizer 역할 : graphic application에 의해 사용되는 기능을 구현 현재 시스템에 있는 어댑터와 출력장치에 대해 출력하는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