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P
- SQL
- Brute Force
- 다익스트라
- MYSQL
- Trie
- binary search
- union find
- 스토어드 프로시저
- two pointer
- Stored Procedure
- Dijkstra
- 그래프
- 이진탐색
- Hash
- Two Points
- String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25)
codingfarm

버전관리란? VCS는 파일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는 시스템이다. VCS를 사용하면 각 파일을 이전상태로 되돌릴 수 있고, 프로젝트를 통째로 이전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시간에 따라 수정내용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수정자의 정보가 남아, 누가 문제를 일으켰는지 볼 수 있다. 누가 만든 이슈인지 볼 수 있다.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넘어서서 모든 컴퓨터 파일의 버전을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나 웹 디자이너도 VCS를 사용할 수 있다. VCS를 쓰면 위와같은 장점들을 큰 노력없이 이용할 수 있다. 로컬 버전 관리 버전관리를 위한 제일 원시적인 방법은 디렉토리로 파일들을 통째로 복사하는것이다. 이는 간편하면서도 매우 확실하다. 하지만 작업하던 디렉토리를..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tail.1posix.html 해당파일 뒷부분의 몇행을 출력한다. 기본값은 10으로 뒷부분의 10행이 출력된다. tail [option] file 옵션 +행번호 : 지정한 행부터 끝까지 출력한다. -숫자 : 화면에 출력할 행의 수를 지정한다. -f : 파일 출력을 종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계속 출력한다.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less.1.html more 명령은 지나간 내용을 다시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불편함을 개선한것이 less 명령이다. less file j : 한줄씩 다음행으로 스크롤 k : 한줄씩 이전행으로 스크롤 spacebar, ctrl + f : 다음화면으로 이동 ctrl + b : 이전 화면으로 이동 q : 종료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more.1posix.html cat 명령은 파일 내용을 연속적으로 출력하므로 간단한 내용의 확인에는 무리가 없다. 내용이 많을경우 스크롤되므로 화면단위로 내용을 출력하는 more가 유용하다. more [option] file spacebar : 다음화면 출력 enter : 한줄씩 스크롤 /문자열 : 해당 문자열을 찾아 이동 q : 종료 b : 1페이지씩 앞으로 이동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cat.1plan9.html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텍스트파일에 주로 쓰이며 바이너리파일에 쓰면 화면이 깨진체 나올것이다. cat [option] file [other_files...] 옵션 -n 출력시 앞에 행 번호가 붙어서 출력된다. 이 행번호는 원래 파일에 없다. 파일 복사 cat orgfile > copiedfile orgfile의 내용을 copiedfile에 그대로 덮어쓴다. cat 명령어로 파일만들기 cat > filename 위와 같은 명령어로 파일을 만들 수 있다. 파일 병합 cat file1 [file2...] > otherfile >를 기준으로 왼쪽에 있는 파일들의 내용을 합쳐서 오른쪽에 있는 파일로 합..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rmdir.1.html 디렉터리를 삭제한다. rmdir [option] directory rmdir 명령어로 디렉터리가 삭제되었음이 확인됨 주의 rmdir명령어로 디렉터리를 삭제하려면 해당 디렉터리가 비어있어야 한다. ls -R 명령어로 from 디렉터리가 비어있지 않음을 확인 rmdir 로 from이 삭제가 되지 않음이 확인됨 비어있지않은 디렉터리의 삭제는 rm명령어로 해야한다.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mkdir.1posix.html 리눅스에서 사용자가 디렉터리를 생성하는데 쓰이는 명령어이다. 해당 디렉터리에서 사용자가 쓰기권한이 있어야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 할 수 있다. mkdir [option] directory [other_directory...] 사용예 동시에 여러개의 경로를 만드는것도 가능하다. 옵션 자주 쓰이는 옵션들에 대해 알아본다. -p 생성할 디렉터리로 지정한 경로 중 중간 단계의 디렉터리가 없을 경우 자동으로 생성한다. -p를 빼먹었을때 오류가 발생함을 확인가능 ls -R 명령어로 확인결과 중간 경로들이 정상 생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ls.1.html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의 내용을 출력한다. ls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의 목록을 출력 ls "directory" : "directory"에 있는 파일들의 목록을 출력 옵션 자주 쓰이는 옵션들은 아래와 같다. -a : 숨긴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의 목록을 출력한다. -d : 디렉터리 자체의 정보를 출력한다. -i : 첫번째 행에 inode 번호를 출력한다. -l :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A : .(마침표)와 ..(마침표 두 개)를 제외한 모든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F : 파일의 종류를 표시한다(* : 실행파일, / : 디렉터리, @ : 심벌적 링크) -L : 심벌릭 링크 파일의 경..
manpages.ubuntu.com/manpages/trusty/man1/file.1.html?_ga=2.212122452.1392948703.1602995898-247459986.1602995898 file "file_name" file [-bchiklLNnprsvz0] [--apple] [--mime-encoding] [--mime-type] [-e testname] [-F separator] [-f namefile] [-m magicfiles] file ... file -C [-m magicfiles] file [--help] 지정된 파일의 타입을 확인하는 명령어 옵션
0. 개요 리눅스에서 디렉터리와 파일을 다루는 명령을 공부한다. 디렉터리의 개념 및 이동 $\cdot$ 생성 $\cdot$ 삭제하는 명령을 배운다. 정보를 관리하는 단위인 파일의 종류를 살펴본다. 파일의 내용을 보는 명령가 파일을 생성 $cdot$ 복사 $\cdot$ 이동 $\cdot$ 삭제하는 명령을 배운다. 리눅스의 작업은 디렉터리와 파일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이에대한 개념을 쌓는게 매우 중요하다. 1. 리눅스 파일의 종류와 특징 리눅스에서는 시스템 간련 정보와 하드웨어 장치를 모두 파일로 관리한다. 파일은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이다 리눅스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사용한다. 1.1 파일의 종류 리눅스에서 파일은 사용목적에 따라 일반 파일, 디렉터리, 심벌릭 링크, 장치 파일로 구..

list directory contents의 줄임말로 해당 디렉토리 내에 있는 디렉토리 및 파일을 화면에 출력한다. ls [option] [file/directory]

1. 기능 3개의 다른 이미지를 하나로 압춥축후 분리된것처럼 사용한다. 탭을 누르면 현재 선택한 인덱스 값이 무엇인지 알 수 있어야 한다. 미선택, 선택, 마우스 올림 3개의 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따로 적용한다. 2. 이미지 3.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1. 클로저란? 함수 내부에 만든 지역변수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값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function func(){ var count = 1; //일반 지역변수의 경우 함수 호출이 완료되면 사라지지만. $("#btn").on("click", //클로저를 이용하면 함수호출 완료 후 사라지는 //지역변수를 사라지지 않는 데이터 저장소로 만들 수 있다. function(){ count++; alert("count = " + count); } };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function 외부함수(){ var 변수A; function 내부함수(){ 변수A 사용; } } c..
1. 콜백 함수란? 1 2 3 4 function 함수이름(calback){ ... callback(결과); } cs 함수 내부의 처리 결과값을 함수 외부로 내보낼 때 사용 일종의 return 문과 비슷한 기능 특정 함수의 매개변수로 콜백 함수를 넘긴 후 처리 결과를 콜백 함수의 매개변수에 담아 콜백함수를 호출한다. 이 구조를 통해 로직 구현 부분과 로직 처리 부분을 나눠 코딩한다. 이에 따라 로직구현부분은 동일하고 로직처리부분을 다양하게 처리해야 하는 경우 유용히 사용 가능하다. 콜백 함수 사용 전: 1 2 3 4 5 6 function 함수이름(calback){ //로직 구현 부분 //로직 처리 부분 } 함수이름(); cs 콜백 함수 사용 후 1 2 3 4 5 6 7 function 함수이름(calb..
1. 중첩함수란? 함수내부에 만들어지는 함수를 중첩함수라 한다. 1 2 3 4 5 6 7 8 9 function outer(){ //inner를 중첩함수라 부른다. function inner(){ //codes... } inner(); } outer(); cs 2. 용도 2-1. 내부 전용 함수 함수 내부에서만 지역변수처럼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 쓴다. 일반적으로 아래처럼 이름이 없는 이벤트 리스너로 많이 사용된다. 1 2 3 4 5 6 7 8 function startHello(){ var count = 0; setInterval(function(){ count++; document.write(count + " 안녕하세요.", " "); }, 1000) } startHello(); Colored by C..
1. 함수 분류 함수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1.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직접 만든 함수 2. 자바스크립트 코어 함수 자바스크립트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ex : parseInt(), parseFloat() 2. 사용 방법에 따른 함수 종류 함수 종류 내용 일반 함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 함수 중첩 함수 함수 안에 있는 함수 콜백 함수 실행결과값을 리턴이 아닌 매개변수로 넘어온 함수를 호출해서 넘겨주는 방식을 콜백이라 하며 이때 매개변수로 넘어온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한다. 클로저 함수 일반적으로 함수의 호출이 끝나면 함수 내부의 지역변수는 자동으로 사라지지만 클로저 함수는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 이러한 현상을 클로저라 한다. 멤버 함수 클래스 내부에 만들어지는 함수..
1. function 키워드를 이용하는 방법 1 2 3 4 5 function hello(name){ document.write(name+"님 환영합니다."); return 5; } var integer = hello("honggildong"); cs 2. 함수 리터럴을 이용하는 방법 1 2 3 4 var hello = function(name){ document.write(name+"님 환영합니다."); } hello("ddandongne"); cs 3. Function 객체를 이용해서 정의하는 방법 1 2 var hello = new Function("name", "document.write(name + '님 환영합니다.')"); hello("ddandongne"); Colored by Color S..
타입 리터럴 방식 객체 방식 숫자 var age = 10; var name = new Number(10); 문자 var name = "ddandongne" var name = new String("ddandongne"); 불린 var cold = true; var cold = new Boolean(true); 배열 var aryData = ["data1", "data2", "data3"]; var aryData = new Array("data1", "data2", "data3");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간결성과 편리성 때문에 리터럴 방식을 즐겨쓴다. 하지만 리터럴방식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서 객체방식으로 자동변환되어 실행된다. 일종의 암시적 형변환이 일어난다고 보면 된다. 함수 리터럴 함수 역시 리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div.image-container { position: relative; } div.image-container img { position: absolute; left: 0; top: 0; width: 120px; } #btnStar..
요구사항 1. 초기시작위치 : x(left) = 50, y(top) = 200 2. 상,하,좌,우 화살표 버튼을 누를 경우 해당방향으로 50씩 이동 3. 물고기가 움직이는 영역(#panel)밖으로 넘어서면 안됨 구현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 body { font-size: 9pt; } #panel { width: 500px; height: 500px; border: 1px sol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