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다익스트라
- SQL
- binary search
- Trie
- 스토어드 프로시저
- Brute Force
- Dijkstra
- Stored Procedure
- String
- MYSQL
- Two Points
- 그래프
- Hash
- DP
- 이진탐색
- union find
- two pointer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25)
codingfarm
manpages.ubuntu.com/manpages/trusty/man1/file.1.html?_ga=2.212122452.1392948703.1602995898-247459986.1602995898 file "file_name" file [-bchiklLNnprsvz0] [--apple] [--mime-encoding] [--mime-type] [-e testname] [-F separator] [-f namefile] [-m magicfiles] file ... file -C [-m magicfiles] file [--help] 지정된 파일의 타입을 확인하는 명령어 옵션
0. 개요 리눅스에서 디렉터리와 파일을 다루는 명령을 공부한다. 디렉터리의 개념 및 이동 $\cdot$ 생성 $\cdot$ 삭제하는 명령을 배운다. 정보를 관리하는 단위인 파일의 종류를 살펴본다. 파일의 내용을 보는 명령가 파일을 생성 $cdot$ 복사 $\cdot$ 이동 $\cdot$ 삭제하는 명령을 배운다. 리눅스의 작업은 디렉터리와 파일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이에대한 개념을 쌓는게 매우 중요하다. 1. 리눅스 파일의 종류와 특징 리눅스에서는 시스템 간련 정보와 하드웨어 장치를 모두 파일로 관리한다. 파일은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이다 리눅스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사용한다. 1.1 파일의 종류 리눅스에서 파일은 사용목적에 따라 일반 파일, 디렉터리, 심벌릭 링크, 장치 파일로 구..

list directory contents의 줄임말로 해당 디렉토리 내에 있는 디렉토리 및 파일을 화면에 출력한다. ls [option] [file/directory]

1. 기능 3개의 다른 이미지를 하나로 압춥축후 분리된것처럼 사용한다. 탭을 누르면 현재 선택한 인덱스 값이 무엇인지 알 수 있어야 한다. 미선택, 선택, 마우스 올림 3개의 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따로 적용한다. 2. 이미지 3.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