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토어드 프로시저
- Dijkstra
- 이진탐색
- Brute Force
- Trie
- DP
- 그래프
- two pointer
- String
- binary search
- Two Points
- MYSQL
- SQL
- Stored Procedure
- Hash
- 다익스트라
- union find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25)
codingfarm

3.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와 작업 제어 3.1 포그라운드 작업과 백그라운드 작업 포그라운드 작업(foreground job)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실행되어 결과가 출력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작업 ex) 터미널에서 작업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셸이 그 명령을 해석하여 실행하고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결과를 봐야 다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대화식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포그라운드 작업방식으로 처리되는 프로세스 >> sleep 100 // foreground job // sleep 명령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백그라운드 작업(background job)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끝나는것과 상관없이 곧바로 ..

manpages.ubuntu.com/manpages/trusty/man1/jobs.1posix.html jos [%작업 번호] 기능 : 백그라운드 작업을 모두 보여준다. 특정 작업 번호를 지정하면 해당 작업의 정보만 보여준다. %작업 번호 %번호 : 해당 번호의 작업 정보를 출력한다. %+ 또는 %% : 작업 순서가 +인 작업 정보를 출력한다. %- : 작업 순서가 -인 작업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예 jobs jobs %1 실행중인 백그라운드 작업은 kill 명령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jobs 명령의 출력 정보 항목 출력 예 의미 작업 번호 [1] 작업 번호로서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증가한다([1],[2],[3],...) 작업 순서 + 작업 순서를 표시한다. $\cdot$ + : 가장 ..

1.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 :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 다중 프로세스 시스템 :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시스템 1.1 프로세스의 부모-자식 관계 리눅스에서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자식 관계를 가진다. systemd와 kthreadd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를 지닌다. (이 둘은 리눅스 시스템 부팅시 스케줄러가 실행한다) 자식 프로세스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프로세스 종료시 부모프로세스에게 종료 정보(exit status)를 돌려주고 종료된다. ex) 사용자가 vi를 실행하면 셸이 vi 프로세스를 생성할 경우, 셸은 부모 프로세스가 되고 vi는 자식 프로세스가 된다. 사용자가 vi를 종료하면 다시 부모 프로세스인 셸로 돌아간다. 1.2 PID(process ..

manpages.ubuntu.com/manpages/focal/en/man1/kill.1.html 프로세스에게 signal을 보내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1. signal 프로세스에 무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간단한 메시지 signal을 받은 프로세스는 기본적으로 종료된다. kill -l 명령으로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시그널 목록을 알 수 있다. 주로 쓰이는 시그널은 아래와 같다. 시그널 번호 기본 처리 의미 SIGHUP 1 종료 터미널과의 연결이 끊어졌을 때 발생 SIGINT 2 종료 인터럽트로 사용자가 `Ctrl + c`를 입력하면 발생 SIGQUIT 3 종료, 코어 덤프 종료 신호로 사용자가 `Ctrl + \`을 입력하면 발생 SIGKILL 9 종료 이 시그널을 받은 프로세스는 무시할 수 없으며 강제로..